본문 바로가기

아두이노(arduino)

아두이노 IDE 통합개발환경이란? / 스케치 메뉴 설명서

IDE란 무엇인가? (아두이노에 국한된 단어가 아닙니다.)

사실 IDE라는 의미를 몰라도 사용하는데 아무 지장도 없지만, 어떤의미인지 짚고 넘어가겠습니다.

IDE 는 통합 개발 환경이란 뜻으로 (Integrated Development Environment) 아두이노를 다룰때 필요한 요소들 소스코드 편집기(코딩하기)와 로컬 빌드 자동화( 내가 작성한 코드들을 아두이노가 알아 들을 수 있도록 변환-컴파일러, 또는 테스트 등) ,  그리고 디버거( 잘못된 부분이 있는지 찾는)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즉, 말해 내가 아두이노를 제어하기 위해 필요한 기능들을 한곳에 모아놓은 패키지다 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모바일 개발 IDE , 클라우드 IDE 등 여러종류의 통합개발환경이 존재합니다.

 

 

 

아두이노 스케치 프로그램 사용 전 확인 사항

아두이노를 사용하기에 앞서 정품보드는 상관없지만 호환보드를 사용할 경우 드라이버의 설치를 확인해야합니다.

 

2022.12.26 - [아두이노(arduino)] - 아두이노 호환보드 드라이버 다운로드 및 설치방법(CH340 / CH341)

 

아두이노 호환보드 드라이버 다운로드 및 설치방법(CH340 / CH341)

아두이노 드라이버는 무조건 설치해야 되나요? 아두이노를 사용하기 위해선 IDE(통합개발환경) 스케치프로그램을 이용해야 합니다. 그러기 위해선 아두이노와 연결을 해야 하는데 정품보드는

ronco.tistory.com

 

스케치프로그램을 실행해봅시다.

 

코딩 전 제일 먼저 체크 해야하는 것


<첫번째>   툴  >> 보드  >> 자신이 사용하고 있는 아두이노 보드종류 선택

사용중인 보드 선택

 

 

내가 사용중인 아두이노 보드종류 확인하기 글은 아래 링크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2022.12.08 - [아두이노(arduino)] - 아두이노(arduino)란 무엇일까? 아두이노의 활용 및 종류

 

아두이노(arduino)란 무엇일까? 아두이노의 활용 및 종류

아두이노 (arduino)란? 사람의 신체와 비유를 하자면 바로 머리부분에 해당이 됩니다. 그리고 신체의 모든 곳을 통제하고 관리하는 곳이 바로 뇌인데 아두이노에서는 마이크로 컨트롤러가 바로 사

ronco.tistory.com

 

 

 

 

 

<두번째> 아두이노와 연결된 포트를 확인하고 선택하기

 

사용중인 포트 선택

 

 

 

보드가 연결 된 포트가 어딘지 확인하는 방법은 아래링크를 확인해주세요.

 

2022.12.26 - [아두이노(arduino)] - 아두이노 호환보드 드라이버 다운로드 및 설치방법(CH340 / CH341)

 

아두이노 호환보드 드라이버 다운로드 및 설치방법(CH340 / CH341)

아두이노 드라이버는 무조건 설치해야 되나요? 아두이노를 사용하기 위해선 IDE(통합개발환경) 스케치프로그램을 이용해야 합니다. 그러기 위해선 아두이노와 연결을 해야 하는데 정품보드는

ronco.tistory.com

 

 

 

 

 

 

 

스케치 프로그램 화면 구성 및 명칭

 

<툴 바>

빨간색 테두리모양이 바로  '툴 바' 입니다.

 

아두이노 컴파일 버튼

컴파일 : 체크모양은 컴파일을 나타내는 아이콘으로 내가 작성한 코드들이 문제없이 작성되었는지 (문법 및 기호등) 확인하는 과정으로  정상적으로 컴파일이 되면 (컴퓨터가 알아들을 수있는 언어로 변경 하는 과정)

 

위와 같은 컴파일 완료라는 문구가 뜹니다. 그렇지 않고 잘못된 경우에는

 

 

에러가 뜨며 무엇이 잘못됐는지 나타내줍니다.

 

 

 

 

아두이노 업로드 버튼
업로드

업로드 : 처음 소개드렸던 컴파일 버튼의 기능에 내가 작성한 코드들을 아두이노로 전송하는 역할을 합니다. 만약 내가 작성한 코드들이 정상적으로 작성되었는지 확인만할때는 컴파일을 누르시면 되고, 컴파일과 동시에 업로드를 하고 싶으시다면 해당 아이콘을 클릭하시면 됩니다.

 

아두이노 새파일
새파일 아이콘

새파일 : 해당 아이콘을 누르면 새로운 파일이 하나더 생성이 됩니다. 

 

 

 

 

열기

열기 : 코딩했던 파일이나, 다운받은 파일등을 가져와서 열때 사용합니다. 

 

열기 아이콘을 눌렀을때

열기아이콘을 누르면 위와같은 카테고리가 나오는데, 컴퓨터내에 있는 파일을 불러올수도 있으며, 최근에 열었던 파일도 볼수가 있고, 아두이노에서 지원하는 예제파일도 불러올 수가 있습니다. 

 

 

 

저장 아이콘

저장 : 내가 작성했던 소스코드 내용들을 저장합니다. 

 

저장 아이콘

아이콘을 누르면 저장할 수있는 경로를 지정하고 완료하면됩니다.

 

 


 

 

 

<탭 목록>

 

 

추가 탭 생성

Ctrl + Shift + n 을 누르시면 

 

아두이노 새로운탭 생성

위와 같은 노란색 박스가 뜨고 원하는 이름을 작성하면 새로운 탭이 생성됩니다.

 

 

코드가 길어지면 모두 분석하고 이해기가 어려워집니다. 그래서 각각의 탭에 원하는 소스코드나 함수 등을 나눠서 작성해놓으면 보기에도 좋고, 분석한후 수정하기도 쉬워집니다.

 

 

 

 


 

 

<텍스트 에디터 >

코드 편집공간입니다. 여기에서 아두이노가 동작할 수있도록 명령어를 작성하는 공간이며, 기본적으로 c언어 문법정도는 이해할 수 있으면 수월하게 코딩이 가능합니다.

 

 

 


 

 

 

<콘솔>

아두이노 스케치 프로그램에서 코드를 작성하고 컴파일 혹은 업로드를 할 경우 정상적으로 동작유무를 나타내줍니다. 

업로드 완료 또는 보드에 업로딩중에 문제 발생. 다음을 참고하세요 라는 문구가 뜹니다.

특이사항이 없을땐 보통 업로드 완료라고 뜨는 문제 발생이라는 문구가 뜬다면, 여러가지원인이 있을 수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아두이노와 컴퓨터의 연결상태가 정상적이지 않은 경우 많이 발생됩니다.

1. 아두이노의 고장. - 다른 아두이노로 교체해 시도해봅니다.

2. 컴퓨터의 usb포트 고장. - usb 포트를 다른곳으로 이동시켜 다시 시도해봅니다.

3. 아두이노의 드라이버 미설치 (ch340/ch341) - 드라이버 설치후 다시 시도해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