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아두이노(arduino)

아두이노 인터페이스 #1- 각 부위 기능과 명칭 (전원공급)

아두이노 인터페이스

인터페이스란 아두이노를 다루고 있는 사용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컨트럴 할때, 쉽게 움직일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시스템을 인터페이스라고 합니다.

 

 

인터페이스에 해당되는 각 부위별 기능과 명칭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전원 커텍터

사람은 음식이 있어야 활동을 하며 생명연장을 할 수 있듯,  아두이노(모든기기들 해당)역시 전원(전기)공급이 있어야지 동작이 가능합니다.

 

그럼 어느 곳으로 전원을 연결해주고 공급해줘야 할까요?

아두이노는 전원을 공급하는 곳이 몇군대 있습니다. 한번 살펴볼까요?

 

 

  • USB 전원 커넥터

 

우리가 흔히 사용하는 5V외부전원을 연결하거나, 컴퓨터 USB에 연결해서 사용 가능합니다.

다만, 전력 공급이 제한적이며, 보통 코딩(명령어를 작성)한 내용을 업로드하거나 아두이노를 제어할때 필요한 정보들을 확인할 수있는 시리얼 통신으로도 사용합니다. 

 

*시리얼 통신( 직렬통신) 컴퓨터 통신의 최소 단위인 비트단위로 단방향 정보를 주고 받는 과정

예: A라는 사람이  B라는 사람에게 말을 거는 동안 B라는 사람은 말을 하지 못하고 듣기만 합니다.

     반대로 B가 A에게 말을 거는 동안 A는 말을 하지 못하고 듣기만 합니다.

 

앞으로 배울 내용이지만, 아두이노를 통해 제어할 모든 모듈들 (센서 ,엑츄에이터 등)은 정보를 바탕으로 반응하고 움직이므로 거기에서 발생되는 정보들의 활용은 필수적이며 그러한 정보들을 확인할 수 있는 시리얼모니터는 확실히 알고 넘어가야합니다.

 

 

  • 외부전원 커넥터 (배럴잭)  /  V IN /  5V

배럴잭 (barrel jack)- 우리가 흔히 가정에서 사용하는 기계들을 보면 이러한 형태의 전원공급부인 배럴잭을 많이 사용합니다. 보통  USB만의 전원공급이 부족하거나 좀더 안정적인 전원공급원을 찾을때 배럴잭을 많이 사용하며, 이렇게 외부전원을 인가할때 적게는 5V에서 많게는 20V까지 전원 공급이 가능하지만,  7V에서 12V를 권장 전압으로 안내하고 있습니다.

무리한 전원공급은 아두이노의 성능저하나, 더 나아가 화재의 위험성도 야기할 수있습니다.

 

 

하나 더, 높은 전압을 인가하더라도 아두이노보드에 설치된 레귤레이터 (전압 변환)를 통해 5V로 변환하여 전원을 공급하게 됩니다.

 

VIN (Voltage input) - 핀을 통해 아두이노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습니다. 반대로 아두이노의 전원을 가져올 수도 있습니다. 여기서 궁금증이 하나 생길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배럴잭과 다를바가 없지 않나? 라고 반문하실 수있습니다. 배럴잭은 높은 전압으로 전원을 공급하더라도 5V로 변환해준다고 했지만, VIN은 공급된 전원 그대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단, 약간의 전압강하가 발생수 있고, 전류(최대 1A)역시 제한이 있습니다.)  아두이노에 설치되어 있는 레귤레이터(전압변환)는 최대 20V전압까지 버틸 수 있게 설계되어있어 그이상 전압을 인가하게되면 보드가 손상되거나, 타버릴 수있으나 유의해야합니다.

 

5V - 보통 해당핀은 출력용으로 사용하지 입력용으로 사용하지 않습니다. 입력용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는걸 말씀드립니다. 단 여기에는 조건이 하나 붙습니다. 똑같은 5V로 인가해야 됩니다. 그 이상 인가하게 되면 기계손상 및 화재의 위험성이 있습니다.

 

 

모든 전원단자들은 중복으로 인가하지 말아야 합니다.
예 : 배럴잭, vin 전원 연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