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

아두이노 오류 에러 발생 / 대처 방안 아두이노 오류 / 에러 아두이노를 다루다보면 에러나 오류를 많이 접하게 됩니다. 그러한 에러들 가운데 빈도수가 높은 에러/오류 들을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아두이노 인식문제 1. 보드 설정 - 아두이노를 사용하게 되면 나는 어떠한 아두이노보드를 사용하고 있다고 알려줘야합니다. 2. 포트 설정 - 아두이노를 컴퓨터에 usb를 통해 연결하게 되는데 컴퓨터 어느포트에 연결이 됐는지 확인해야합니다. 3. 보드 및 포트 이상유무 확인 (하드웨어 문제) 보드 설정과 포트 설정을 잘 마쳤다고 하여 모두 끝난것이 아닙니다. 아두이노 보드가 이상이 있을 수 있고, 컴퓨터usb포트 자체가 이상이 있을 수있습니다. 그럴경우, 새로운 아두이노 보드를 이용해본다거나, 컴퓨터의 다른usb포트에 연결을 시도해볼 수있겠습니다. 내가.. 더보기
아두이노 IDE 통합개발환경이란? / 스케치 메뉴 설명서 IDE란 무엇인가? (아두이노에 국한된 단어가 아닙니다.) 사실 IDE라는 의미를 몰라도 사용하는데 아무 지장도 없지만, 어떤의미인지 짚고 넘어가겠습니다. IDE 는 통합 개발 환경이란 뜻으로 (Integrated Development Environment) 아두이노를 다룰때 필요한 요소들 소스코드 편집기(코딩하기)와 로컬 빌드 자동화( 내가 작성한 코드들을 아두이노가 알아 들을 수 있도록 변환-컴파일러, 또는 테스트 등) , 그리고 디버거( 잘못된 부분이 있는지 찾는)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즉, 말해 내가 아두이노를 제어하기 위해 필요한 기능들을 한곳에 모아놓은 패키지다 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모바일 개발 IDE , 클라우드 IDE 등 여러종류의 통합개발환경이 존재합니다. 아두이노 스케치 프로그램 사.. 더보기
아두이노 호환보드 드라이버 다운로드 및 설치방법(CH340 / CH341) 아두이노 드라이버는 무조건 설치해야 되나요? 아두이노를 사용하기 위해선 IDE(통합개발환경) 스케치프로그램을 이용해야 합니다. 그러기 위해선 아두이노와 연결을 해야 하는데 정품보드는 그냥 자동으로 연결되는 반면에 호환보드는 드라이버가 있어야 컴퓨터가 ' 아~ 아두이노 보드가 연결됐구나'라고 알 수 있는 것입니다. 그러면 무조건 호환보드는 드라이버를 설치해야 되나요? 또 그렇지 않습니다. 호환보드도 자동으로 보드를 인식할 수 있는 보드도 있습니다. 구입하실 때 아두이노 호환보드 R3 CH340 혹은 CH341이라고 적힌 보드만 드라이버를 설치해야 합니다. 2022.12.23 - [아두이노(arduino)] - 아두이노우노 정품보드(R3)와 호환보드(R3) 차이 / 구별법 아두이노우노 정품보드(R3)과 호환.. 더보기
아두이노우노 정품보드(R3)과 호환보드(R3) 차이 / 구별법 아두이노 보드 정품과 호환보드는 뭔가요? 세상 모든 물건들이 마찬가지겠지만 아두이노보드도 예외는 아닙니다. 진짜가 있으면 가짜가 있고, 우리는 그걸 가리켜 정품과 가품이라고 이야기합니다. 근데 확실히 알고 넘어가야 할 것이 아두이노는 오픈소스하드웨어 보드입니다. 무슨 말이냐? 누구나 다 아두이노를 설계하고 판매까지 할 수 있게끔 소스가 공개된 보드란 사실입니다. 그래서 흔히 이야기하는 짝퉁 (가품)이라고 이야기하는 것보다, 정품보드와 호환보드라고 하는 것이 옳은 표현입니다. 대부분의 호환보드는 중국에서 제조되며, 정품 보드는 이탈리아에서 만들어집니다. 정품 보드 와 호환보드 비교해 보기 우선 말로 설명하기 전에 사진으로 비교해 볼까요? 단순히 여러분들이 보시기에 어떤 차이가 느껴지시나요?? 1. 아두이노.. 더보기
아두이노 사용순서도(부품연결, 코딩, 업로드 및 디버깅) 아두이노와 부품 연결하기 앞서 설명한 부품들을 이용해 아두이노와 연결합니다. 어떠한 입력 부품(센서류)을 쓸 것인지 어떠한 출력 부품(엑츄에이터, led, 부저 등)을 쓸건인지 판단하고 아두이노와 빵판(브레드보드)을 점퍼선(점퍼 케이블)을 이용해 연결합니다. 그림에서도 볼 수 있듯이 많은 부품을 사용하지도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점퍼선들이 어지럽게 연결돼있는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점퍼선들을 연결하기 전 점퍼 케이블들의 색상이나 위치 등을 잘 고려해 수정을 할 때도 수월할 수 있게 연결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예 : + 빨간색, - 검은색, 신호선 노란색 등) 아무 색상이나 있는 대로 막 쓰다가, 제일 중요한 + - (양극, 음극)을 거꾸로 연결하는 일이 태반입니다. 그럴 경우 전기공급이 안될 수 도 있으.. 더보기
아두이노의 시리얼 통신 방식(I2C, SPI, UART) 시리얼 통신(Serial Communication)이란? 시리얼 통신은 직렬통신이란 뜻으로 보통 하나의 신호선을 이용해 정보를 주고 받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동시에 여러개의 정보를 한꺼번에 전송할 순 없으며, 병렬통신(Parlallel)과 비교해 전송속도가 느리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하지만 병렬통신에 비해 저렴한 가격으로 통신을 할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직렬통신에는 우리가 흔히 사용하는 PC COM PORT, USB 가 있습니다. 병렬통신은 한꺼번에 많은 양의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지만, 통신 해야되는 거리가 길어지면 길어질수록 많은 선을 연장해야해 비용은 훨씬 늘어나게 됩니다. I2C 통신 (Inter- Intergrated Circuit) 아두이노에서 사용하는 통신방식중 하나로 '아이투 씨' 라.. 더보기
아두이노 처음시작하기 - 준비물 #2(입력부품 / 출력부품 / 저항) 입력부품 입력은 말그대로 무언가가 들어간다는 뜻입니다. 아두이노에서는 각종모듈들(센서류)의 정보가 아두이노 마이크로컨트롤러로 입력이 된다는 뜻이고, 사람으로 비유자하면 각종 감각기관을 통해 사람의 뇌로 정보가 들어간다는 뜻입니다. 아두이노로 정보를 입력하는 것들은 어떤것들이 있을까요? 푸시버튼(push button 혹은 택트 스위치) 버튼을 누름으로 디지털 정보인 0과 1을 돌려줍니다. 주위를 둘러보면 많은 기기들 속에 아래와같은 버튼들이 많이 들어가 있습니다. 예 : 마우스, 컴퓨터 버튼들, 스마트폰 물리버튼 등 가변저항 보통 일반적인 막대저항같은 경우 저항값이 일정하게 고정되어있지만, 가변저항은 이름에서 알수 있듯이 저항의 값을 임의로 바꿀 수있습니다. 레버를 돌리게되면 0~1023의 아날로그 값을 .. 더보기
아두이노 처음시작하기 - 준비물 #1 (빵판,점퍼선,USB케이블) 아두이노 계열 보드 선택 제일 중요한 부품이자 없어서는 안될 핵심 부품이죠. 바로 아두이노 보드입니다. 보드 역시 여러종류가 있기에 본인이 어떤곳에 사용할지 어떤것을 만들지에 따라 선택은 달라집니다. 보통 아두이노 우노를 가장 많이 사용하기는 하지만 그렇지도 않은 경우가 있기에 제가 쓴 글 중 아두이노 보드의 종류글이라는 링크를 남겨두도록 하겠습니다. 확인해보시고 선택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2022.12.08 - [아두이노(arduino)] - 아두이노(arduino)란 무엇일까? 아두이노의 활용 및 종류 빵판 혹은 브레드보드 빵판이라고 불리기도하고 브레드보드라고 불리기도합니다. 브레드보드가 한글로 빵판이니까요. 브레드보드는 전기가 흐를 수 있는 통로역할을 합니다. 모든 전기통로를 직접 잡아주고 있거나.. 더보기